월 | 주제 | 내용 | 비 고 |
3월 | 민요의 특징 | 민요의 특징과 호흡 발음 발성법을 공부한다 | |
4월 | 금강산타령 노랫가락 | 민요를 부르고 따라 부르는 형식으로 소리 내는 법과 가사의 뜻을 생각하며 공부한다 | |
5월 | 태평가 청춘가 | 민요를 부르고 따라 부르는 형식으로 소리 내는 법과 가사의 뜻을 생각하며 공부한다 | |
6월 | 사발가 베틀가 오봉산 | 민요를 부르고 따라 부르는 형식으로 소리 내는 법과 가사의 뜻을 생각하며 공부한다 | |
7월 | 한강수타령 풍년가 | 민요를 부르고 따라 부르는 형식으로 소리 내는 법과 가사의 뜻을 생각하며 공부한다 | |
8월 | 매화타령 오 돌 독 | 민요를 부르고 따라 부르는 형식으로 소리 내는 법과 가사의 뜻을 생각하며 공부한다 | |
9월 | 양산도 밀양아리랑 | 민요를 부르고 따라 부르는 형식으로 소리 내는 법과 가사의 뜻을 생각하며 공부한다 | |
10월 | 신고산타령 한오백년 | 민요를 부르고 따라 부르는 형식으로 소리 내는 법과 가사의 뜻을 생각하며 공부한다 | |
11월 | 가시버시 너 영 나 영 | 민요를 부르고 따라 부르는 형식으로 소리 내는 법과 가사의 뜻을 생각하며 공부한다 | |
※ 12월 중 수료식 및 발표회 계획 : 배우고 익힌 우리 소리를 바탕으로 발표회를 원하시는 수강생들이 전통의상(한복)을 입고 10분 내외로 공연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