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의 문화재

오두산성

지정번호 :
사적 제351호
지정연월일 :
1991년 8월 24일
소재지 :
탄현면 성동리 산 86
소유자 :
국가
조성시기 :
삼국시대
규모 :
총 길이 621m 추정, 약 10m 잔존
재료 :

문화재 설명

한강과 임진강이 서로 만나는 지점인 탄현면 성동리 오두산에는 정상(해발 119m)을 중심으로 산의 비탈면에 띠를 두르듯이 쌓은 테뫼식*의 오두산성*이 있다. 오두산의 가파른 비탈면은 서쪽으로는 임진강, 남쪽으로는 한강에 면해 있고, 북쪽으로는 산기슭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주변에 높은 산이 없어 산 정상에서 주변 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군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
현재 오두산 정상에 통일전망대가 들어서 있어 산성의 규모와 원형을 확인하기 어려울 정도로 훼손되어 있지만, 임진강과 한강의 합류 지점인 서쪽 비탈에 높이 1~1.5m, 길이 약 30m, 폭 6~7m인 당시의 성벽이 정연하게 남아 있음이 확인되었다. 산 정상 여기저기에는 성벽용 석재가 흩어져 있으며, 1990년 9월부터 1991년 11월 사이의 발굴 조사에서 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의 토기, 백자, 기와, 화살촉 등의 유물이 다수 발견되어 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까지 계속 수축된 것으로 밝혀졌다.
오두산성은 기초석 위에 5~15cm의 지대석支臺石을 들여쌓기하고 안쪽은 모두 돌로만 채운 뒤채움석 형식으로 쌓았는데, 큰 암반을 채석으로 이용하고 그 단면을 성벽으로 이용한 성곽 형태를 갖추고 있어 백제시대 성곽 연구에 중요한 유적이다.
한편 산성의 위치 및 주변의 지형 여건으로 보아, 광개토왕비에 나오는 각미성閣彌城, 『삼국사기』의 고구려본기 광개토왕 원년조(391년), 백제본기 아신왕阿莘王 2년조(393년) 등에 나오는 백제 북변의 관미성關彌城이라는 학자들의 주장이 있고, 김정호의 『대동지지大東地志』에는 오두산성을 백제의 관미성이라 기록하고 있어 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만약 오두산성이 백제의 북방 전초 기지였던 관미성이라면, 396년 고구려 광개토왕의 수군이 백제의 아신왕을 치고 수도 위례성을 함락시키는 경로를 밝혀 주는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다.